학교폭력 징후 관리
피해학생의 관리
아이가 누군가에게 맞고 들어왔어요
|
---|
학교폭력 사안을 피해학생의 보호자가 알려왔을 때, 보호자는 심리적으로 상당히 혼란스러울 수 있으므로 교사가 “더욱 관심을 가지고 조사하여 문제를 해결하겠습니다.” 라고 보호자를 안심시켜야 합니다. 보호자는 신속하고 적극적인 학교의 대처를 원합니다. 심리적으로 예민해진 보호자에게 학교에서 미온적인 모습을 보이면 가해학생 편을 든다거나 은폐한다고 오해할 수있으므로, 중간 중간에 진행상황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해 줍니다.
학교폭력 사안 처리 시, 보호자가 비협조적이거나 학교가 사안 처리에 있어 미온적이라고 생각하면 사안 처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신고 및 접수 시부터 보호자와 협력관계를 잘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학교폭력 사안처리의 궁극적 목적은 피해·가해학생 모두 안전하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말해줍니다.
우선 보호자의 감정이 격앙됨을 이해하고 보호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보냅니다. 확인된 사실을 부모가 정확히 알고 있는지, 오해가 있는지 등에 대해 파악합니다. 조사한 사실에 대한 추가 의견이나 자료 여부에 대해 점검합니다. 피해학생과 보호자가 현재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묻습니다. (화해, 사과, 전학, 가해학생 처벌 등) 학교의 공정한 진행 절차에 대해 안내합니다. 피해측이 가해측과 면담을 요청할 경우, 단독으로 피해측과 가해측이 만날 경우 갈등이 심화되거나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교사나 전문가 입회하에 만날 수 있도록 합니다. 학생의 보호와 안정, 적응을 위해 학교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임을 약속합니다.
가해학생의 보호자의 감정을 일단 수용하되, 가해학생의 행위는 정확히 알려줍니다. 피해학생의 피해정도 등 학교폭력 상황을 정확하게 알려줍니다. 조사한 사실에 대한 추가 의견이나 자료 여부에 대해 점검합니다. 학교폭력 사안처리의 진행절차에 대해 안내합니다. 학교폭력 행위에 대하여 책임과 결과가 따른다는 인식을 갖도록 합니다. 가해학생을 낙인찍지 않고, 교육적으로 적절한 지도와 선도가 이루어질 것임을 알립니다. 가해학생에 대하여 가정에서의 관심과 지도를 부탁합니다.
보호자가 법적절차를 밟을 때 학교는 자체적인 조치를 중단하기보다는 피해·가해학생에 대해 학교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보호 및 지도조치를 계속적으로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해·가해학생을 격리 조치하고, 피해학생을 보호조치하며 피해학생이 위험상황에 있을 때 담임에게 바로 연락할 수 있도록 조치합니다.
<출처 : 스톱불링 도란도란-학교폭력-대처하기-학부모>
|
학교에 알리게 되면 문제가 더 커져 아이가 보복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돼요.
|
---|
학생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장소가 학교라는 점을 감안할 때 부모가 학교폭력에 노출된 자녀를 24시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교사의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교사와 상담하고 보호조치를 요청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교사는 학교폭력 관련 연수를 받기 때문에 학교폭력에 대해 상담한다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학교에서 학교폭력 피해사실을 알리면 전문상담교사와 상담할 수 있으며(
|
가해자의 관리
애들 싸움은 애들끼리 해결해야죠!
|
---|
일반적인 학생들 간의 싸움은 양쪽이 가지고 있는 힘이 어느 정도 비슷합니다. 그러나 학교폭력에서는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에 ‘힘의 불균형’이 존재합니다.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피해학생은 학교폭력을 당한 후에 외부의 상처는 물론 심리적·정서적으로 큰 충격을 겪게 됩니다.
그러므로 학교폭력이 발생했을 때 교사, 학부모가 개입해서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를 취해야만 학교폭력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교육부·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5) p. 12]
|
학급 분위기의 관찰
피해학생의 관리
가해학생의 관리
피해학생
< 학교폭력 관련 상담 및 신고기관 >
기관명
|
홈페이지
|
상담전화
|
---|---|---|
117학교폭력신고센터
|
☎117
| |
청소년폭력예방재단
학교폭력 SOS지원단
|
☎1588-9128
| |
Wee 센터
(전국 시·도교육청)
|
-
| |
여성 긴급전화
|
*지역별 여성 긴급전화 운영
|
☎1366
|
학교폭력 피해를 당했다면?
|
---|
한 아이가 괴롭힐 때는 이렇게 대처하세요.
괴롭힌 당사자에게 먼저 얘기하고, 선생님에게 알립니다.
부모님께 상담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를 때에는 학교폭력 관련 상담기관에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아이가 괴롭힐 때는 이렇게 대처하세요.
혼자 해결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되도록 빨리 선생님께 알려서 학교에서 대처해 줄 것을 요구합니다.
되도록 다른 학생들과 무리지어 다닙니다.
신체적·심리적 피해 증거를 확보합니다. 다른 아이들이 목격한 증언도 확보합니다.
학교에 알린 뒤에도 피해가 지속되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를 요구하고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를 요구합니다.
학교에서 잘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에는 교육청·경찰청 등 상급기관에 신고해서 관련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해자가 따로 보자고 할 때는 이렇게 대처하세요.
가해자가 방과 후에 따로 남으라고 하면 절대 남지 말고 즉시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알립니다.
길목을 지키고 있을 경우를 대비해서 친구들과 무리지어 다니거나 부모님과 동행합니다.
가해자를 피하는 것이 어렵다면 친한 친구에게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신고해 줄 것을 부탁합니다.
금품을 빼앗거나 빌려달라고 강요할 때는 이렇게 대처하세요.
지금은 없으니 부모님께 말씀드려서 다음에 주겠다고 말하고 그 자리를 모면한 후 신고합니다.
자꾸 강요하면 부모님과 선생님께 즉시 알립니다.
어쩔 수 없이 강탈당할 때는 친구가 목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신체적·언어적 폭력을 당했을 때는 이렇게 대처하세요.
학교폭력 관련 기관에 신고해서 병원치료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나중에 증거가 될 수 있도록 누가, 언제, 왜, 어떻게 폭행했는지를 상세하게 기록합니다.
폭행을 당한 즉시 병원(언어적 폭력은 신경정신과)에 가서 진단서를 받습니다.
폭행 사실을 목격한 친구에게서 증언물(녹음, 기록, 대필 등)을 준비합니다.
<출처 : 스톱불링 도란도란-학교폭력-대처하기-학생>
|
가해자
장난이었어요!
|
---|
친구들끼리 놀면서 장난삼아 욕하고 머리를 몇 대 때렸어요. 전 살살 때린 것 같은데 그 친구가 갑자기 울면서 조퇴까지 했어요. 다음 날 선생님한테 불려갔는데, 그 친구가 병원에서 진단서를 받아왔다며 학교폭력으로 신고했대요. 어찌나 황당하고 어이가 없던지... 이게 학교폭력이라구요?
학교폭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본인이 대수롭지 않은 행동으로 여겼더라도 상대방이 아픔이나 수치심을 느꼈다면 학교폭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장난은 서로를 즐겁게 하고 웃음을 유발하는 행위입니다. 자신은 장난이라고 하더라도 상대에게 피해를 준다면 이는 장난이 아닌 괴롭힘으로 보아야 합니다. 친구들과 자유롭게 노는 경우에도 무리한 신체접촉은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학교폭력 피해증거의 확보
학교폭력 피해증거의 확보방법
진술서 예시
| |
누가:
언제:
어디서:
왜:
무엇을, 어떻게:
|
우리반 짱인 신이와 운이가
2012년 3월 10일 점심시간에
나를 학교 3층 화장실 구석으로 끌고갔다.
돈을 가져오지 않는다며
신이와 운이가 나를 때리고 “너 병풍 뒤에서 향냄새 좀 맡을래?”, “척추를 접어버린다.”, “눈 깔아!” 등등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욕을 하고, 내일 돈을 가져오지 않으면 옆 학교 일진들에게 넘기겠다고 협박했다. 이 광경을 연우가 봤다. 너무 창피해서 죽을 것 같다. 학교에 가고 싶지 않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