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충신고와 상담
고충신고와 상담
거부의사를 분명히 표시합니다.
가해자에게 편지를 씁니다.
사과할 것과 손해를 배상을 요구합니다.
증거자료를 남깁니다.
업무수행내용에 대한 사본을 보관합니다.
사업주에게 고충신고
고충처리위원에게 고충 신고
※ 노사협의회
근로자와 사용자가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근로자의 복지증진과 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구성하는 협의기구를 말합니다(「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호). 근로조건에 대한 결정권이 있는 사업 또는 사업장 단위로 설치해야 하지만, 상시 근로자 30명 미만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는 두지 않아도 됩니다(「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제4조제1항).
근로자와 사용자를 대표하는 같은 수의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각각 3 ~ 10명 이내)으로 구성합니다(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제6조).
성희롱과 관련해 근로자의 고충처리, 인사·노무관리의 제도개선, 근로자의 복지증진, 여성근로자의 모성보호 및 일과 가정생활의 양립을 지원하기 위한 사항 등에 관한 사항 등을 협의합니다.
명예고용평등감독관과의 상담
※ 명예고용평등감독관
지방 고용노동관서의 장은 사업장 소속 근로자 중 노사가 추천하는 자를 해당 사업장의 명예고용평등감독관으로 위촉(「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24조제1항, 제36조 및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1조제1항제7호)해 근로자에 대한 상담업무 및 노사 자율개선을 추진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민간단체 고용평등상담실을 통한 상담
※ 지방 고용노동관서의 장은 전국 주요지역에 민간단체를 선정하여 차별과 직장 내 성희롱, 모성보호 및 일·가정 양립 등에 관한 상담을 전담하는 고용평등상담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23조, 제36조 및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5조제2항).
성희롱 피해자는 그 밖의 다양한 민간단체나 언론기관, 여성근로자단체 등을 통해 상담하거나 피해구제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주요 상담소의 연락처와 상담 내용
상담소
|
홈페이지 및 전화번호
|
주요 상담 내용
|
---|---|---|
한국성폭력상담소
|
온라인 상담과 사이버성폭력 상담도 가능
| |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
·성폭력(강간, 성희롱, 성추행,스토킹 포함)에 대한 상담
·성지식, 성적 의사소통 등에 대한 상담
| |
한국성폭력위기센터
|
·상담과 의료의 통합 지원
·정신적, 신체적 피해에 대한 서비스 제공
| |
한국여성상담센터
|
·성폭력 및 가정폭력에 대한 대처방안과 심리상담프로그램 소개
·가해자상담프로그램 소개
| |
방송통신위원회
사이버권리침해상담
|
정보통신망을 통한 명예훼손, 모욕, 성폭력, 스토킹 등의 문제와 관련 이용자의 정당한 권리 침해에 대한 상담활동 및 구제활동 지원
|
※ 여성 근로자 단체의 홈페이지
전국여성노동조합
| |
---|---|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
※ 언론기관의 홈페이지
여성신문
| |
---|---|
한국여성단체연합뉴스매거진
|
댓글 없음:
댓글 쓰기